여자 무관 남자 무식상 o
여자 무재 남자 무비겁
여자 무식상 남자 무인성
여자 무식상 남자 무재 o
---------------------------------------
여자의 자식이 잘나기 위해서는 근왕 식상생재
(식을 살리자)
여자의 남편이 잘나기 위해서는 관이 살자.
남자의 자식이 잘나기 위해서는 재생관 관인상생
(관을 살리자)
여자 팔자가 재왕 관약 -> 시댁은 빵빵한데, 남편이 비실비실
여자 팔자가 재약 관왕 -> 남편은 빵빵한데, 시댁이 비실비실
정무임갑
사자신자
-> 재왕하니 남편보다 와이프가 능력이크고, 시어머니가 영향력이 크다는 뜻
여자가 재설된 관왕은 남편의 성공은 빠르나 시댁은 기운다는 뜻.
여명 쟁재 -> 시어머니가 싫어하고 시아버지는 좋아한다
여명 쟁재받지않은 재성 -> 시어머니가 좋아한다. 며느리대접.
여자 근왕식상 매력
관인만 있으면 인형같은매력은 있으나, 생기는 부족하다.
낮은 인성과 밤은 식상과 보내는것이 남자.
인성은 정신적 매력이며, 식상은 생기, 육체적 매력
수목화-> 부드러운 매력일텐데
토금 -> 우왁스러움?
-----------------------------------------------------------------
임수가 있으면 사람이 신비스러운 느낌이 있다.
계수가 있으면 눈망울이 초롱초롱해서 안쳐다 볼 수가 없다.
병화가 있으면 밝고 명랑한 느낌이 있다.
정화는 뭔지 모를 섹시함이 보인다.
갑목은 너무 뻣뻣해 보여서 사랑스럽지 않다.
을목을 살랑거리는 몸짓이 눈길을 끈다.
기토나 신금은 토금이어도 음간이라 여성스럽다.
무토 경금은 그냥 사람인가 보다.
사주(명리학)/명리 이론
남녀 사주
반응형
반응형